가정언어(家庭言語)에 대하여
페이지 정보
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14-08-04 09:56 조회 2,683회 댓글 0건본문
가정언어(家庭言語)에 대하여
<?xml:namespace prefix = o ns = "urn:schemas-microsoft-com:office:office" />
■공경말 [저(제) ~습니다]
■삼가말 [나(내) ~습니다]
■친근말 - ‧하소 [저 ~소]
‧하게 [자네 ~하게]
‧해라 [너 ~라]
‧반말 [~거야, ~거지]
1. 공경말
부모, 조부모(祖父母), 백숙부모(伯叔父母)의 직계존속과 준직계존속
2. 삼가말(대체로 남녀 간의 호칭)
(1) 남 ➜ 여
제수씨(弟嫂氏), OO종수씨(從嫂氏)
외사촌(外四寸), 고종(姑從), 이종(姨從)의 며느리(子婦)나 손부(孫婦)
고모부(姑母夫) ➜ 처남(妻男)의 딸이나 처남의 며느리
존고모부(尊姑母夫) ➜ 처남의 손부
이모부(姨母夫) ➜ 처형(妻兄), 처제(妻弟)의 딸이나 며느리
형부(兄夫) ➜ 처제
삼종숙(三從叔), 族叔(집안아재), 族祖(집안할배) ➜ 三從侄, 族侄, 族孫의 부인
(2) 여 ➜ 남
처숙모(妻叔母) ➜ 질녀남편(姪壻)
처존고모 ➜ 친정종손서(親庭從孫壻)
처고모 ➜ 친정질서
처외숙모 ➜ 생질서(甥姪壻)
처이모 ➜ 이질서(姨姪壻)
오라버니(오라배 伯娚,仲娚)댁 ➜ 시누이 남편
3. 친근말
(1) 하소말 : 아우 ➜ 형 / 며느리(하 ➜ 상) / 年下 족조ㆍ족숙 / 年上 족질ㆍ족손
(2) 하게말
장모(丈母) ➜ 사위(壻)
장조모(丈祖母) ➜ 손서(孫壻)
형, 누나 ➜ 아우, 동생
오라버니댁(오라배) ➜ 시누이
시누나 ➜ 동생댁
며느리(상 ➜ 하)
시외삼촌(媤外三寸) ➜ 생질부(甥姪婦)
종숙부(당숙부) ➜ 종질부(從姪婦)
처5촌 ➜ 종질서(從姪壻))
고모부 ➜ 처남아들
사장(査丈) ➜ 사하생(査下生)에게 삼가말 / 8年下 사하생도 하게말 사용(不適)
(3) 해라말 : 자녀, 며느리, 손자녀, 손부, 조카, 질녀, 질부, 종손자녀, 종손부 등
(4) 반말 : 부부간에 사용하는 말이며, ~거야, ~거지, ~해, ~있어 등
4. 가정언어 원칙
‧친당(親黨),척당(戚黨) : ‘님’ 아니 붙임(할배, 할매, 아배, 어매, OO아재, 외할배)
‧시당(媤黨) : ‘님’ 붙임(아버님, 어머님, 할아버님, OO할아버님, OO아주머님)
‧처당(妻黨) : 남자에게는 ‘어른’, 여자에게는 ‘님’ 붙임(장인어른, 장모님, 처숙모님)
5. 가정 호칭법
(1) 친가(親家)
할배, 할매 / OO할배, OO할매 / OO大父(년하 족조), OO大母 / 아배, 어매 / 맏아 배, 큰아배[*安東(큰아배: 할배)], 맏어매, 큰어매[*安東(큰어매: 할매)], 작은아배, 작 은어매 / 아재, 아주매 / OO아재(종숙-족숙), OO아주매 / 형님(힝아), 새아지매(형수) / OO형님, OO아지매 / 아우, 제수씨 / OO아우, OO종수씨 / 조카, 질부 / OO종질, OO종질부 / OO족질, OO어른(年上의 족질․족손), OO댁 / 字(5년내), 號 / 族末(자칭)
‣大邱 인근 : 父(아버지) 기준으로 ‘큰아배(형)와 작은아배(아우)’ 규정
安東 지역 : 伯仲叔季 기준으로 ‘맏아배(伯父)와 작은아배(仲ㆍ叔ㆍ季父)’로 규정
‣南人 : 아배 어매, 아부지 어무이 / 아재 아주매
老論 : 아버지 어머니 / 아저씨 아주머니
※大邱 한 班家 : 할배 할매 큰할배(伯從祖) / 아부지 어무이 큰아부지(伯父) 아재
(2) 외가(外家)
외할배, 외할매 / 외아재, 외아주매 / 아주매(이모), 새아재(이모부) / 진외증조할배(眞 外曾祖), 진외증조할매 / 증외고조할배(曾外高祖), 증외고조할매 / ※指稱: 진외종조, 진외 종숙, 진외재종형제 / 증외종증조, 증외재종조, 증외재종숙, 증외삼종형제
(3) 시가(媤家)
할아버님, 할머님 / 아버님, 어머님 / 아주버님, 아주머님 / 아주뱀, 형님(손위 동 서), 아지뱀, 새댁(손아래 동서), 대림(미혼) / OO아지뱀, OO댁 / 형님(시누나), 새아 지뱀(시누나 남편) / 새아주버님(시고모부), 아주머님(시고모) / 새할아버님(시존고무 부), 할머님(시존고모) / O실(시누이), O서방댁(8寸外) O서방/ ※아주: 큼, 아지: 작음
(4) 친정(親庭)
오라배, 새힝아(새형님) / 힝아, 형부(새아재) / O실(女아우), O서방(제부) / 동생, 새댁(동새애댁)
(5) 매가(妹家)
자형(새형님), 누임(누님) / O서방, O실 / 아주매(고모), 새아재(고모부), 고모(미혼) 할매(존고모), 새할배(존고모부) / △△아재(존고모 아들), △△아주매
(6) 처가(妻家)
장인어른, 장모님 / 장조어른, 장조모님 / 처삼촌어른, 처숙모님 / 처외조어른, 처외 조모님 / 처외삼촌, 처외숙모님 / 처고모님, 처이모님 / 처남, 처남댁 / 처형, 처제, 동 서(나이에 따라)
※처족 부름말
처조부 : 장조어른, 장조모님 ➜ 자칭 : ‘O서방’입니다.
처종조 : 처종조어른, 처종조모님
처존고모 : 처존고모님(처왕고모님), 처존고모부(어른)
처부모 : 장인어른, 장모님
처삼촌 : 처삼촌어른, 처숙모님
처고모 : 처고모님, 처고모부
처오촌 : 처오촌, 처종숙모님
처종고모 : 처종고모님, 처종고모부
처남 : 처남, 처남댁
처형 : 처형, O서방(형님 아니고 벗)
처제 : 처제, O서방
처사촌 : 처사촌, 처사촌댁
처육촌 : 처육촌, 처육촌댁
처외조 : 처외조어른, 처외조모님
처외삼촌 : 처외삼촌, 처외숙모님
처이모 : 처이모님
처외사촌 : 처외사촌, 처외사촌댁
처고종 : 처고종, 처고종댁
(7) 사가(査家)
사돈, 안사돈, 밭사돈 / 곁사돈 / 사장어른, 안사장 / 사하생(지칭어)
6. 지칭어(指稱語)
며느리가 시부모 지칭 ; 저의 시어른, 저의 밭시어른, 저의 안시어른
너의 시어른(시어머니➜ 며느리에게 시아버지를) / 자네 아지매(형➜ 아우에게 형수를) 형님의 동생(동생댁➜ 시누나에게 친정동생을) / 아지뱀 형(형수➜ 시동생에게 형을)
‣호칭 : 야야(아들,조카) / 야야, 절무니, 새아기, 새사람(며느리) / 얘야(손자,손부)
‣평칭과 존칭 : 할배ㆍ할뱀 / 할매ㆍ할맴 / 아배ㆍ아뱀 / 어매ㆍ어맴 / 아재ㆍ아잼
7. 잘못된 말
장인, 장모 ➜ 아버님, 어머님 / 매부 ➜ 매형 (O서방 임)
고모부, 이모부 ➜ 고모아재, 이모아재 / 처남 ➜ 형님 (처남 임)
질부, 손부 ➜ 조카며느리(조카아내), 손자며느리 / 처남댁 ➜ 처수 (처남댁 임)
‣고종 ➜ 內從 (내종 아니고 外從 임) / 외사촌 ➜ 外從 (외종 아니고 內從 임)
‣남자 손위 동서(娶客) ➜ 형님 (나이에 따라 자네 또는 O서방, 동서 등 호칭)
※가정언어로 남남끼리 사용 불가
아들, 딸 또는 손자, 손녀가 아닌데 ➜ 아버지, 어머니 또는 할아버지, 할머니
동생 또는 조카가 아닌데 ➜ 형님, 누나, 언니, 오빠 또는 아재, 아주매
※하요말 : ‘어요, 되요, 가요, 말아요.’ 등 사용 금지
8. 제족(諸族): 本宗(一家), 外家, 眞外家(陳外家), 曾外家, 高外家, 先外家, 外外家, 妻家, 妹家, 姑母家, 尊姑母家, 曾姑母家, 姨母家, 尊姨母家, 査家, 生家, 養家
9. 종손(宗孫)과 주손(冑孫)
종손 : 不遷位 祠堂 있어야 함 / 大宗孫(大宗家), 宗孫(派宗家), OO公 宗孫(名望家)
주손 : 예컨대 ‘OO公 10代冑孫’
10. 사회인 대면 : OO어르신(20세 이상), OO어른(노인이나 친분 두터운 중년남자),
노인(노인 초면), 선생(중년 초면), 이 분(중년), 임자(두루 사용), 신사(청년), 숙녀
OO댁(남➜ 여자에게), OO양반(여➜ 남자에게) ※OO : 택호
이 부인(년소 여자➜ 년장 여자), 이 댁(년장 여자➜ 년소 여자)
귀문(貴門: 상대 집안), 비문(卑門: 자기집안), 內子ㆍ內眷(아내), 바깥ㆍ바깥양반(남편)
‣남자 벗끼리(同志) : 자네 또는 자(字), 호(號) 부르기 (※許交: 古來 8년, 上八下八)
‣친구(학교 동기 등) : 이름(청소년까지), 자네, 이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